정부화폐(국가화폐)도 가상화폐다.
돈은 언제 처음 생겼을까? 은화 금화 엽전이 생각이 난다. 이 것들은 금, 은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그 자체가 가치가 있는 것이다. 녹여서 금반지, 은반지를 만들 수 있다. 아님 목걸이나 귀걸이 ㅎ
그런데 지금의 천원, 만원, 오만원 짜리 지폐는? 지폐 자체는 예쁘게 디자인되어 프린트된 종이에 불과하다. 종이접기해서 비행기도 만들고, 요즘 처럼 추울 때 난로에 넣고 태울 수는 있겠다.
어떻게 종이로 만들어진 지폐가 '가치있는 것'으로 인정받을 수 있었을까?
예전에는 지폐가 은행에 보관된 금을 찾아갈 수 있는 '권리증서'같은 거였다. 그 지폐에는 'OO은행에 OO만큼의 금을 가져갈 수 있는 증서입니다.'라고 써져있었다. 금 무거워서 들고다니니 힘드니까, 지폐로 거래를 하고, 그 지폐를 필요할 때 언제든지 은행에 가서 금으로 바꿀 수 있었다. 이걸 '금태환; 금으로 바꾼다'이라고 한다. 이런 제도를 '금본위제'라고 한다.
그런데 은행입장에서는 꾀가 났다. 어차피 사람들이 한꺼번에 금을 찾으러 오지 않으니, 소유한 금의 양보다 많은 양의 '증서; 화폐'를 발행해서 사람들한테 빌려주면 이자를 가져온다. 더 많은 이자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가진 금보다 더 더 많은 '증서'를 발행하면 됐다. 은행에는 점점 돈이 쌓인다. 그런데 너무 티나게 사기를 치면 안 되니까, '지급준비율'이란 걸 만든다. 일정비율의 금은 꼭 보관하고 있어야 된다라는 규칙이다.
여기까지는 이 지폐들이 '가상'화폐라고 보기는 힘든 것 같다. 어쨋든 실물인 금에 근거하고 있으니까.
그런데 1971년 미국에서는 금본위제를 폐기한다. "금 없어도 돼. 그냥 달러 찍어서 주자"라는 것이다. 은행에 화폐를 들고 가도 금을 주지 않는다. 금과 전혀 상관없는 '종이'인 것이다.
여기서 부터는 '가상'화폐라고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실물에 근거하지 않고, 미국이라는 나라의 신용을 가지고 마음껏 찍어낼 수 있는 화폐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음대로 찍어낸 지폐화폐는 현재의 통화량의 일부에 불과한다. 보통 전체 통화량 중 지폐의 비율은 1~5%정도로 이야기하는 것 같다. 나머지는 인터넷뱅킹의 숫자로 존재하는 돈이다. 증권계좌의 숫자이거나. 대출계좌에 찍힌 숫자이거나.
이러한 맥락에서, 정부화폐(국가화폐)도 가상화폐이다.
블록체인기술을 적용하지 않았을 뿐.
*다음은 위의 내용을 잘 요약정리한 영상입니다. (설정에서 한국어 자막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딱 맞는 말씀이었습니다 ^~^;;
이 세상에는 실체를 가진 것보다 가지지 않은 것이 훨씬 많지요
경제는 절대적으로 실체없는 거품으로 돌아가는 것이죠
좋은 글 감사합니다 ^~^
근데 태그에 kr kr-newbie 다시면 좀더 많은 우리나라 사림들이 볼수 있을 것입니다
kr kr-newbie 태그를 다는 방법이 있군요~!! 조언 정말 감사해요. 아직 초보 스티미언이라 모르는 게 많습니다 ㅜㅜ
정말 이 세상에는 비물질적인 것들의 비중이 더 큰 것 같습니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