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영상 해독 기술(brain decoding) 어디까지 왔나?

in #kr7 years ago

뇌영상 해독 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unctional neuroimaging, fMRI)  분석 기법이 발전하면서 이전에는 꿈도 못할 것들이 점차 현실화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딥러닝(deep learning) 기법이 적용되면서 점점 더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간단한 기원과 최근 진행상황까지 한번 정리해서 살펴보도록 하죠.

1. Haxby(2001)의 실험: 자극 분류

초창기에는 단순히 자극을 분류하는 뇌 패턴을 찾는 연구가 이뤄졌습니다. 특정한 분류의 자극(예, 얼굴, 집)이 나타났을 때의 뇌 활성화 패턴을 학습시킨 후, 나중에는 뇌 활성화 패턴을 가지고 이것이 얼굴인지, 집인지 분류할 때 그 정확률이 우연 수준 이상인지 검증하는 것이죠. 

위의 사진에서는 서로 다른 시점에서 촬영한 fMRI 영상에서 같은 분류에 속하는 자극에 대한 뇌 활성화 패턴(예,  A 시점에서 얼굴을 봤을 때 뇌 활성화 패턴 vs B 시점에서 얼굴을 봤을 때 뇌 활성화 패턴 ) 간에는 높은 상관을, 다른 분류에 속하는 자극에 대한 뇌 활성화 패턴(예,  A 시점에서 얼굴을 봤을 때 뇌 활성화 패턴 vs B 시점에서 집을 봤을 때 뇌 활성화 패턴) 간에는 낮은 상관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답니다.

즉, 얼굴을 봤을 때 발생하는 두뇌 활성화 패턴이 집을 봤을 때 나타나는 활성화 패턴과 구분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2. Cox(2010)의 연구: 얼굴 예측

초창기에는 단순히 자극 범주(예, 얼굴, 물건)을 분류하는데 그치던 연구들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뇌영상을 해독하는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fMRI 활성화 패턴으로 사람의 얼굴을 재구성했는데, 사진에서 첫 두번째 열을 제외하고, 3~6번째 열이 뇌영상을 해독하여 재구성한 사람의 얼굴입니다.

어떻게 보이시나요?

100% 정확하게 구현을 하지는 못했지만, 얼추 얼굴 형태와 눈, 코, 입의 형태는 추상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수준에 까지 이른 것 같습니다. 불과 10년도 안 돼서 저만큼 기술이 발전한 거지요 ㅎㅎ


3. 눈으로 보이는 것을 넘어: blackbox의 해독?

지금까지는 눈으로 보이는 것들을 분류하거나 재구성하는데 초점을 맞춘 연구들을 소개했습니다.

그렇다면, 앞으로는 어떻게 발전할까요?

brain-computer interface(BCI) 분야에서는 사람의 뇌파를 읽어 로봇 손을 움직이게 하는 장비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고, 이러한 것을 활용하여 VR 게임을 구현하는 장비도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사람의 기억, 기분 상태 등 이전에는 개인의 자기-보고에만 의존했던 추상적인 개념들을 해독하는 연구 또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하게 이뤄지고 기술 발전이 이뤄진다면, 개인의 정보를 usb에 이식하거나 또, usb에 담긴 정보들을 개인한테 역이식하는(원숭이한테 기억 이식하는 연구는 이미 이뤄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세상이 올 수 있을까요?

미래가 궁금해지네요 ^^

이만 글을 마치겠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다음 동영상과 기사도 함께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유투브 동영상 https://youtu.be/z8iEogscUl8

2. 관련 기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20&aid=0003121156


Sort:  

fMRI로 얼굴을 재구성하는거 정말 신기해요! 나중에 범죄수사와 관련해서도 쓰일수 있을까요? 그런 세상이 오길..
잘 읽었어요 보팅하고 가요☺️

저는 국과수에서 일을 하고 있는데, 국과수는 fMRI를 안 쓰고 있더라고요 -_ㅠ
차선책으로 뇌파를 이용해서 이 기술을 응용하기 위해서 오늘도 일을 하고 있습니다 ㅎㅎ

New to Stee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