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과 스티브 잡스 메멘토 모리와 가치가 0이 될수 있는 블록체인 암호화폐
1833년, 노벨이라는 사람이 스웨덴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화학자요 발명가로서 두각을 나타내게 됩니다.그리고 33세에 최초로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하여 온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다.
그 후 30여 년이 지난 어느 날 신문 기사를 보던 노벨은 깜짝 놀랐다. 기사 부고 내용은 노벨 자신이 죽었다는 것이었다. 노벨의 형을 노벨로 착각하고 ‘노벨, 사망하다’라는 제목으로 기사를 실었던 것이다. 한술 더 떠서‘다이너마이트의 왕 죽다, 죽음의 사업가, 파괴의 발명가 죽다’라고 되어 있는 기사 내용이었습니다.
그 기사를 보는 순간 노벨은 생각했다.
‘정말로 내가 죽는다면 이 기사가 사실이 되지 않을까? 오늘이라도 내가 죽으면 사람들은 나를 어떻게 평가할까?’
노벨은 복잡한 심경으로 숙고한 끝에 결정했다. 그리고 노벨은 다이너마이트의 발명으로 모은 전 재산을 인류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공헌한 사람들에게 노벨상을 만들었다.
-하루하루를 인생의 마지막 날처럼 산다면 당신은 옳은 삶을 살 것이다.-의 명언을 남긴 스티브 잡스의 스탠퍼트 졸업 명언설의 구체적인 내용이 존재한다.
My third story is about death.
세 번째 이야기는 죽음에 관한 것입니다.
When I was 17, I read a quote that went something like: "If you live each day as if it was your last, someday you'll most certainly be right."
제가 17 살이었을 때, 이런 구절을 읽은 적이 있습니다. “만일 당신이 매일을 삶의 마지막 날처럼 산다면 언젠가 당신은 대부분 옳은 삶을 살았을 것이다.”
It made an impression on me, and since then, for the past 33 years, I have looked in the mirror every morning and asked myself: "If today were the last day of my life, would I want to do what I am about to do today?"
저는 그것에 강한 인상을 받았고, 이후 33년 동안 매일 아침 거울을 보면서 제 자신에게 말했습니다. “만일 오늘이 내 인생의 마지막 날이라면, 내가 오늘 하려는 것을 하게 될까?”
And whenever the answer has been "No" for too many days in a row, I know I need to change something.
그리고 여러 날 동안 대답할때마다 ‘아니오’라고 나온다면, 저는 어떤 것을 바꿔야 한다고 깨달았습니다.
Remembering that I'll be dead soon is the most important tool I've ever encountered to help me make the big choices in life.
제가 곧 죽을 것이라는 것을 회상하는 것은, 제가 인생에서 큰 결정들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준 가장 중요한 도구였습니다.
Because almost everything all external expectations, all pride, all fear of embarrassment or failure - these things just fall away in the face of death, leaving only what is truly important.
왜냐하면 모든 외부의 기대들, 모든 자부심, 좌절과 실패의 두려움, 이런 것들은 죽음 앞에서는 아무것도 아니기 때문에, 진정으로 중요한 것만을 남기게 됩니다.
Remembering that you are going to die is the best way I know to avoid the trap of thinking you have something to lose.
죽음을 생각하는 것은 당신이 무엇을 잃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의 함정을 벗어나는 최고의 길입니다.
You are already naked. There is no reason not to follow your heart.
여러분은 이미 모든 것을 벗었습니다. 그러므로 여러분의 마음을 따라가지 못할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노벨은 실수의 신문 부고 때문에 다시 태어났고 스티브 잡스는 죽음을 명상하는 삶을 통해 위대한 업적을 만들었다. 스티브 잡스의 문제점은 죽음이란 것을 끌어당기고 생각했기 때문에 우주가 죽음의 기운을 보내줘서 췌장암으로 중년의 나이에 사망했다는 것이다.
스티브 잡스처럼 서구인은 목숨을 아끼지 않는 메멘토 모리라는 죽음을 기억하라는 것을 해골을 통해서 항상 죽음과 친숙한데 동양은 죽음이 금기가 되어 있다. 필자가 보기에는 동양은 봄이기 때문에 삶에 대해 중시하고 서양보다 기독교등 신이나 종교가 덜 발달되었다. 또 신체발부 수지부모 효도를 해야하므로 전쟁에 나가서 다치거나 자살, 죽지 말아야 했다. 따라서 칼보다 붓이 더 발달을 했으며 일본은 사무라이등 칼의 문화였기 때문에 탈아입구로 서양화를 많이 따라갈수 있었다. 서양도 중세시대 기사도정신이나 내세의 천국사상, 영혼불멸사상등이 있기 때문에 전쟁에서 동양군인보다 목숨을 내 놓고 싸운 경우가 많고 모험심으로 지리상의 발견[식민지 약탈]을 가져왔던 것이다. 또 살인등 죄를 아무리 지어도 면죄부등 신이 용서해줄수 있다는 양심에 털나는 생각 때문에 인디오 90%를 멸망시킨 식민지 수탈이나 아편전쟁등의 끔직한 역사를 써내려가 그 자양분으로 문명을 개척했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종말론을 믿는 광신도 카톨릭 교도임을 잘 모르고 있다. 그는 땅끝까지 믿음이 전파된다면 세상에 말세가 오고 예수가 재림한다는 사상에 빠져서 그렇게 먼 항해길을 목숨걸고 수행한 것이다.
바니타스(Vanitas)는 16-17세기의 네덜란드와 플랑드르 지역에서 정물화에 특히 관련있는 상징과 관련된 예술작품의 한 종류로, 그 이외의 장소들과 다른 시기에서도 인기가 있었다. 바니타스는 라틴어로 "바니티"를 뜻하고 대략적으로 해석하면 세속적인 삶과 모든 세속적인 추구, 물질의 무의미함과 일치한다. 성경의 전도서 1:2;12:8에서 이 단어와 함께 자주 인용된다. 불가타 (라틴어로 번역된 성경)에서 Vanitas vanitatum omnia vanitas라는 운문으로 번역했다. 그 운문은 킹 제임스 성경에서 Vanity of vanities; all is vanity(헛되고 헛되니 모든 것이 헛되도다)라고 번역됐다. Utterly meaningless! Everything is meaningless는 새 국제판 성경의 번역이다.
바니타스 정물화의 핵심 모토는 ‘메멘토모리(memento mori)’다.
메멘토 모리(Memento mori)는 자신의 "죽음을 기억하라" 또는 "너는 반드시 죽는다는 것을 기억하라", "네가 죽을 것을 기억하라"를 뜻하는 라틴어 낱말이다.
옛날 로마에서는 원정에서 승리를 거두고 개선하는 장군이 시가 행진을 할때 노예를 시켜 행렬 뒤에서 큰소리로 외치게 했다고 한다. "메멘토 모리!" [Memento Mori!] 라틴어로 '죽음을 기억하라'라는 뜻인데, '전쟁에서 승리했다고 너무 우쭐대지 말라. 오늘은 개선 장군이지만, 너도 언젠가는 죽는다. 그러니 겸손하게 행동하라.' 이런 의미에서 생겨난 풍습이라고 한다.
이를 보면 솔로몬 반지에 새긴 모든 것은 지나가리라는 명언과도 일맥상통한다.
필자는 암호화폐를 대하는 자세가 이 메멘토 모리 헛되다는 바니타스 정신이라고 본다. 왜냐하면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등 암호화폐의 가치가 0으로 수렴할수도 있다고 본다.
그렇다고 해서 비트코인의 가치가 0이 될 가능성은 미국 달러가 0이 되어 휴지조각이 될 가능성보다 적다고 보여진다. 왜냐하면 디플레이션 되는 비트코인이 인플레이션 되는 미국 달러에 비교하여 비교우위에 있다고 본다.
필자가 보기에 가장 좋은 화폐는 금과 은, 부동산[토지]이며 그 밖에 믿음으로 만들어진 화폐는 언제든 붕괴될 카드로 만든 집, 공중에 쌓은 탑이라고 본다.
또한 필자는 가격이 매우 싼 코인을 좋아하는데 예를 들어 엔터테인먼트 산업인 트론은 37.3원이다. 필자는 2.56원에 구매했고 또 이 가치가 펌핑을 받아 300원 가까이 간 적도 있었다.
내가 구매한 이유는 비트코인은 0원으로 가면 손해가 막심한데 트론은 0원이 되어도 손해가 그리 크지 않다는 단순한 판단 때문이었다. 즉 코인의 가치의 죽음까지 생각한 바니타스 메멘토 모리 정신으로 돈을 벌게 된 것이다.
이렇게 생각은 못해봤는데... 가상화폐를 투자하는데 다른 시각이 생긴 것 같네요ㅎㅎ
감사합니다. 암호화폐에서는 배수진을 쳤다는 생각으로 죽음을 각오하고 정면돌파를 해야 한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