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유저는 어떻게 채굴자들에 대항했나

in #kr7 years ago (edited)

뭐 좀더 정확히는 개발자가 계획하고
유저가 참여한 봉기.. 라고 해야겠네요.

작년 채굴자와 개발자의 전쟁이 있었죠.
그 전쟁에서는 개발자의 무기는 UASF 였습니다.

유저가 활성화하는 소프트포크라는 것인데
어려우니까 그냥 채굴하지 않는 유저라도
어느정도 대항할 수 있게 하는 방법.. 정도로
이해하면 됩니다.

51% 공격도 그렇고 중국의 채굴자 파워얘기도 그렇고
블록체인은 채굴에 의해 이뤄지기에
채굴은 암호화폐에 있어 절대적인 힘입니다.
그렇기에 저는 당시 유저들이 대체
어떻게 채굴자에 대항할 수 있었는지
그것이 궁금했습니다.

그리고 고심끝에

편한 길을 택했습니다

그래도 스팀잇을 하면서 강제적으로 지식은 쌓여갔고
시간이 지나 블록체인의 네트웤에 대해서
조금 더 알게 되었죠. 그리고 그때서야 이해했습니다.
어떻게 유저가 채굴자에 대항할 수 있었는지..

나의 지갑은 무슨일을 할까?


어떤 암호화 화폐라도 반드시 필요한 것이
지갑 프로그램입니다.

채굴자가 채굴 프로그램을 쓴다면
유저들은 지갑 프로그램을 사용하죠.
(단, 웹지갑, 거래소 지갑은 제외입니다)

지갑 프로그램을 통해서야 코인 거래가 가능하니까요
한데 이 지갑 프로그램이 단순히 코인 거래만
하는 것이 아닙니다.
프로그램을 켠 순간부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일'하기 시작합니다.

다른 사람들의 거래정보나 블록이 날아오면
그걸 검증하고 다시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는 것이죠.

즉, 블록체인의 네트워크는
채굴자만 아니라 지갑을 켜놓은 사람도 유지에 기여를
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는 블록체인의 중요한 한축이
됩니다.

확산


채굴자는 채굴을 하여 '블록'을 발행합니다.
그걸 모아서 '블록체인'이 되죠.

이때 발행한 블록이 '체인'에 연결되기 위해선
'검증'을 받아야만 합니다.
지 스스로 하는 검증 말고 남의 검증 말이죠.
그래서 네트웤에 블록을 뿌립니다.

한데..

뿌리면 스파이더맨처럼 알아서 줍줍하는 구조가 아닙니다

자신과 연결된 애들한테 블록을 전달하는 것이죠.
그 애들이 블록을 받아서 검증을 하면
이제 또 그 애들은 자신들과 친한 애들한테 뿌립니다

이렇게 해서 거미줄처럼 기하급수적으로
퍼져나가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유저들의 지갑은 '검증과 전달' 이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되죠.

UASF의 무기


유저가 채굴자에 대항할 수 있었던 무기가 바로
이것입니다.

전달을 안하는 것이죠.

채굴자가 건네준 블록이 유저의 지갑 조건에 맞지
않으면 거부하는 것입니다.
작년의 예라면..
세그윗을 하지 않은 블록이 거부되는 것이죠
그럼 받은 블록을 자기랑 친한 애한테는 안넘겨줍니다

한편 유저의 지갑 조건에 맞춰주는 채굴자의
블록은 통과시켜줍니다.

채굴은 누가 먼저 채굴하여 최대한 빨리 많은 이들에게
'확산' 시키는가.. 의 싸움입니다.
먼저 채굴하면 당연히 먼저 전달했을테니 가장 많이
확산되어 레이스에서 승리하게 되죠.
한데 이렇게 거부하는 유저들이 있으면
다른 채굴자들에 비해 매우 불리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유저들이 내건 조건에 채굴자들이
거부할 수 없게 됩니다.

이 때문에 거대채굴 공장으로 비트코인을 좌지우지하던
우지한이 불같이 화를 내며
우지한의 난을 일으켰던 것이죠
그리고 결국 유저의 힘과 정면충돌해서 얻을게 없다고
생각한 지한이는 아예
개발자까지 수중에 잡고 있는 비캐를 내고
이게 진짜 비트임.. 라고하면서
오늘도 열심히 유저를 꼬시고 있는 것입니다 :)

Sort:  

Cheer Up!

  • from Clean STEEM activity supporter

KakaoTalk_20180208_191621902.jpg
자존심을 건 역대급 펌핑이 시작된다.
꼬심에 안넘어갈 수 있을까요? 헤헤헤

뭐 시세조정에 있어선 천재적이긴 합니다
최근 우따거 코인 엘레.. 뭐시기만 봐도-ㅅ-

처음엔 정말 우지한의 난이 성공하는 줄 알았죠 ..ㅎ

good post friends.

좋은 이야기와 영감. 고마워.

쉽게 잘 설명해주시니 편하게 이해 했습니다.
감사 합니다.

개인이용자도 거버넌스에 참여할 수 있었군요. 그런 부분때문에라도 채굴하지 않는 풀노드의 숫자가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근데 비트코인 풀노드 같은 경우 유지하기가 극악의 난이도와 비용을 자랑하지요. ㅠㅠ

Enjoy the bch!

오늘도 좋은 정보 쉽고 쏙쏙 들어오게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당!

오... 뭔가 알것 같으면서 잘 모르겠어요 제 한계에요...
그럼 모든 스티미언도 유저라는 건가요? 저조차도?
모두 지갑을 갖고 있잖아요.
저도 제가 모르는 사이 제 지갑이 검증이라는 걸 하고 보내주고 있는건지,
아니면,, 노드? 증인? 그들만 하는 건지..
기분내키실때 설명좀 부탁 합니다.

본문에도 살짝 언급했듯이 웹지갑은 제외입니다.
웹지갑은 필요할때만 살짝 접속하는 것이라서요.
그리고 스팀은 웹지갑이죠.-ㅅ-

하지만 스팀도 프로그램 지갑이 존재합니다.
그걸 키면 그때부터 스팀 블록체인 네트웤에 참여하게 됩니다.

좀더 나아가서 증인 프로그램을 구성하면
스팀 증인으로 참여할 수도 있죠. 채굴에 참여키 위해선
조건이 있긴하지만..

그렇군요. 웹지갑, 프로그램 지갑이 다른 거여서 이해를 제가 못했군요.
알아야될게 참 많은 것 같아요..
가끔은 너무 많아 힘들때도 있네요...
그래도 열심히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언젠가는 제가 다~ 이해할 날도 오겠죠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