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공부 제39장

in #zzanlast month

도덕경 공부 제39장/cjsdns

昔之得一者(석지득일자) : 예부터 하나를 얻은 것들이 있다

天得一以淸(천득일이청) : 하늘은 하나를 얻어 맑아지고
地得一以寧(지득일이녕) : 땅은 하나를 얻어 편안해지고
神得一以靈(신득일이령) : 신은 하나를 얻어 영묘해지고
谷得一以盈(곡득일이영) : 골짜기는 하나를 얻어 가득 차게 되고
萬物得一以生(만물득일이생) : 만물은 하나를 얻어 생장하게 되고
侯王得一以爲天下貞(후왕득일이위천하정) : 왕과 제후는 하나를 얻어 천하의 우두머리가 되고
其致之(기치지) : 이 모두가 하나의 덕이다

天無以淸(천무이청) : 하늘은 그것을 맑게 하는 것이 없으면
將恐裂(장공렬) : 갈라지고
地無以寧(지무이녕) : 땅은 그것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 없으면
將恐發(장공발) : 흔들리고
神無以靈(신무이령) : 신은 그것을 영묘하게 하는 것이 없으면
將恐歇(장공헐) : 시들 것이고
谷無以盈(곡무이영) : 골짜기는 그것을 가득 차게 하는 것이 없으면
將恐竭(장공갈) : 마를 것이고
萬物無以生(만물무이생) : 만물은 그것을 자라게 하는 것이 없으면
將恐滅(장공멸) : 멸망할 것이고
侯王無以貴高(후왕무이귀고) : 왕과 제후는 그들을 귀하고 높게 하는 것이 없으면
將恐蹶(장공궐) : 넘어질 것이다

故貴以賤爲本(고귀이천위본) : 그러므로 귀한 것은 천한 것을 근본으로 하고
高以下爲基(고이하위기) : 높은 것은 낮은 것을 바탕으로 한다
是以後王自謂孤(시이후왕자위고) : 이런 까닭으로 왕과 제후는 스스로를 고아 같은 사람,
寡不穀(과불곡) : 짝 잃은 사람, 보잘 것 없는 사람이라 부른다.
此非以賤爲本邪非乎(차비이천위본사비호) : 이것이 바로 천한 것을 근본으로 삼는 것 아니겠는가

故致數輿無輿(고치수여무여) : 지극히 영예로운 것은 영예로움이 아니다
不欲琭琭如玉(불욕록록여옥) : 구슬처럼 영롱한 소리를 내려 하지 않고
珞珞如石(락락여석) : 돌처럼 담담한 소리를 낸다.

이 하나를 얻어 만물이 생기나니 이 하나가 무엇일까 생각하게 된다.
읽으며 생각하기를 그건 비, 이렇게 생각했다.
그러나 다시 더 읽어 보고 다시 읽어 보니 비를 넘어서는 귀함을 얻는 일이구나 싶다.

하늘은 하나를 얻어 맑고 땅은 하나를 얻어 편안하고
신은 하나를 얻어 영묘하고 골짜기는 하나를 얻어 가득하고
온갖 것 하나를 얻어 자라나고 왕과 제후는 하나를 얻어 세상의 어른이 되고
이 모두가 하나의 덕이다, 말하는 것을 음미해 보면
이것은 얻어야 할 덕 갖추어야 할 도, 즉 무위란 생각이 들었다.

하늘은 그것을 맑게 하는 것 없으면 갈라질 것이고
땅은 그것을 편안하게 하는 것 없으면 흔들릴 것이고
신은 그것을 영묘하게 하는 것 없으면 시들 것이고
골짜기는 그것을 가득하게 하는 것 없으면 마를 것이고
온갖 것 그것을 자라게 하는 것 없으면 없어져 버릴 것이고
왕과 제후는 그들을 어른되게 하는 것 없으면 넘어질 것이다,
이렇게 설명하고 그러므로 귀한 것은 천한 것을 근본으로 하고
높은 것은 낮은 것을 바탕으로 한다.
이런 까닭으로 왕과 제후는 스스로를 고아 같은 사람
보잘것없는 사람이라 부른다, 하니 음과 양은 자연스러우며
서로 두려워하고 존중하고 사랑해야 하는 무의의 조화로 읽힌다.

음식도 가장 좋은 음식은 담백한 맛이라 한다.
그렇듯이 도의 덕의 근본조 천한 것을 근본으로 삼는 것 아니겠는가 싶다.
맺음 하는 말로 지극히 영예로운 것은 영예로움이 아니다.
구슬처럼 영롱한 소리를 내려하지 말고 돌처럼 담담한 소리를 내라,
이 말이 곧 내가 좋아하는 강가의 몽돌이 옥구슬 보다 더 나은
도이며 덕이지 싶다.
오늘 야심한 시간에 본 도덕경의 느낌은 그렇다.
이 밤은 점점 깊어만 간다.

도덕경 해설집 인용 및 출처:
네이버 블로그
노자 <도덕경> 원문해석
https://m.blog.naver.com › chamnet21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번역:도덕경
https://ko.wikisource.org › wiki ›

2024/11/21
천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