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공부 제61장

in #zzan3 days ago

도덕경 공부 제61장/cjsdns

大國者下流(대국자하류) : 큰 나라는 강의 하류
天下之交(천하지교) : 천하가 모여드는
天下之牝(천하지빈) : 천하의 여인이다.

牝常以靜勝牡(빈상이정승모) : 여성은 언제나 그 고요함으로 남성을 이긴다.
以靜爲下(이정위하) : 고요함으로 스스로를 낮춘다.

故大國以下小國(고대국이하소국) : 그러므로 큰 나라는 스스로를 낮춤으로
則取小國(즉취소국) : 작은 나라를 얻고
小國以下大國(소국이하대국) : 작은 나라는 아래에서 큰 나라를 섬김으로써
則取大國(즉취대국) : 큰 나라를 얻는다.

故或下以取(고혹하이취) : 그러므로 혹 아래로 낮춤으로써 취하기도 하고
或下而取(혹하이취) : 혹 아래에서 위를 섬김으로써 취하기도 한다.

大國不過欲兼畜人(대국불과욕겸축인) : 큰 나라는 사람을 모아 기르고자 하며
小國不過欲入事人(소국불과욕입사인) : 작은 나라는 들어가 남을 섬기고자 한다.

夫兩者各得其所欲(부량자각득기소욕) : 큰 나라와 작은 나라가 각각 원하는 바를 얻으려면
大者宜爲下(대자의위하) : 큰 나라가 먼저 스스로를 낮추어야 한다.

큰 나라는 강의 하류와 같아서 세상의 모든 흐름이 만나는 곳이고 천하가 사모하는 여인과 같은 곳이기도 하다. 여인은 항상 고요함으로 남성을 품어 이기고 보듬어 항상 아래에 머문다.

큰 사람이 작은 사람에게 자신을 낮추면 그 사람을 얻게 되고 작은 사람이 큰 사람에게 아부가 아닌 자신을 낮추면 큰 사람은 그를 기쁘게 받아들여 함께하게 되어 더욱 커진 사람이나 공동체가 된다.

그러하므로 낮은 자세로서 인재를 받아들이고 낮은 자세로써 섬김을 하면 공동체가 바라는 것은 이루어지고 모두가 함께하게 되고 보호를 서로 하여 원하는 것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크게 주목되는 말은 이 말이다.
"양쪽이 각기 바라는 대로 하고 싶다면 마땅히 큰 쪽이 아래가 되어야 한다."
이 말은 큰사람이 센 사람이 약한 사람에게 져 줘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여 작은 상대일수록 존중하여 스스로 걸어와서 합류할 수 있는 명분을 주어야 한다는 말로 들린다.
이게 지고도 이기는 그런 것인 듯하다.

이러하거늘 늘 권세를 내세워 이기기만을 고수하고 남 탓을 자신이 술 마시듯 하는 그렇게 하는 사람은 일국의 대통령이 아니라
한 개인으로서도 시민으로서도 실패한 가치가 없는 인생을 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 자리가 얼마나 위중하고 존엄한 자리인데 스스로 개판을 만드러 놓아 국민을 경악하게 하는지 그는 시정잡배 만도 못한
허수아비도 허허 웃을 그런 사람이란 생각이 들게 한다.

그런데도 추종 세력이 있다는 것은 그가 잘해서가 아니라 지기들의 기득권이 무너질까 사라질까 두려워해서이다.
어찌 되었든 사필규정이며 본인의 업보로 스스로를 만들어 가고 있는 것이다.

감사합니다.

도덕경 공부 도우미출처:네이버 블로그노자 <도덕경> 원문해석https://m.blog.naver.com/chamnet21/221742719382

위키문헌,
https://ko.wikisource.org/wiki/%EB%B2%88%EC%97%AD:%EB%8F%84%EB%8D%95%EA%B2%BD

2024/12/15
천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