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주』 동화는 어디로 갔는가 - 철학동화와 책읽기.

in #kr6 years ago

동화는 어디로 갔는가?

@Jamieinthedark



철학동화와 교훈동화 그리고...


요즘 자녀 교육용으로 철학동화라는 것이 부모들 사이에서 유행이라고 한다. 내가 예전에 생각한 개념인가 싶어서 조금 찾아 보았다. 내가 생각한 것은 사상별로 주장하는 바를 세계관에 담아낸 동화인데, 그렇게 쉽게 나왔으리라고 생각하지는 않았기 때문에.

물론 아니었다.

아니나 다를까, 전통 동화적 요소를 차용해서 새로 쓴 동화가 주를 이루는데, 동화의 내용은 차치하고서라도, "배울 점"들을 포인트로 정리한 그런 것들이었다. 또한 이름만 다르지 비슷한 컨셉으로 제작된 동화책들이 넘쳐나는 듯했다. 이름하여 교훈동화라고 해두자.

자녀를 키우지도 않고 키울 생각도 없는 내가 왜 이 사실에 막연한 불편함을 느꼈을까. 이런 동화들을 잠깐 검색하면 대입, 논술 등의 용어가 섞여 있는 후기들이 눈에 띈다.

사진으로 올라와 있는 일부 텍스트를 보면, 막연했던 거부감이 보다 확실해진다.

사실 나는 그들의 자녀 교육이나 대학 입시 준비 방법에는 관심이 없다. 그것 역시 그들의 선택이다. 내가 우려하는 것은 동화가 사라지는 것이다. 그 결과 교훈동화로 교육된 아이들이 전부 다 비슷비슷, 고만고만한 사람들로 자라나는 것이다.

교훈동화의 내용, 그리고 짚어주는 교훈들이 잘못되었다는 이야기가 아니다. 그중 상당수는 아마도 진부하겠지만, 괜찮은 것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그게 중요한 것이 아니다.

중요한 점은 동화, 스토리가 줄 수 있는 모든 장점은 그 여백에 있다는 것이다.

여백이 없이 해설과 교훈이 참고서마냥 딱딱 주어진 책에게서 기대할 수 있는 결과란, 어디서 들은 것만 쌓여가는 멍청한 아이일 뿐이다. 그나마 쌓이는 그것조차, 아이가 본능적으로 더 흥미가 가는 것을 찾는 순간 사라진다.

애초에 왜 다들 본인들이 책을 많이 읽었건 아니건 책 읽기가 좋다고 이야기하고, 권장하는가? 사고력, 상상력, 창의력, 논리력 등 온갖 장점이 책을 통해 생겨나리라는 희망적인 이야기는 많이들 하지만, 그럴 것이라는 보장은 어디에 있는가. 책을 무조건 읽으면 되는 것일까?



책을 읽는다는것의 의미


책을 읽으면, 읽는 시간 동안에는 무의미한 TV 시청이나 게임에 몰두하지 못하리라는 점 말고, 책 자체가 어떻게 그 모든 장점들을 길러줄 수 있는가?

답은 이미 이야기했듯이, 그 여백에 있다. 한 책에서 얻어낼 수 있는 것은 아이가 텍스트를 일단은 읽어낼 수 있다는 가정 하에 그 책이 남기는 여백에 있다.

책의 내용이 좋게 느껴지건 이상하게 느껴지건 간에 책을 읽으면서, 또는 읽은 후에, 아이 스스로가 풀어나가는 그 시간들에 달려 있다.

그 시간 동안 온갖 생각을 다 해보고 부모에게 질문도 하고, 또래나 형제자매에게 이야기도 하고, 비틀어서 자기 이야기인 것처럼 살짝 거짓말도 해보고, 인상적인 대사를 현실에서 사용해보고는 그 결과를 온전히 감당해내는 것에, 그 아이가 책에서 얼마나 얻게 되느냐의 문제가 달려 있다.

읽자마자 부모가 억지로 대화나 토론을 시켜보는 것도 그다지 좋지 않아 보인다. 아이가 스스로 생각하게 좀 내버려둬라. 애초에 책을 쓴 전문 교육가가 의도하는 교훈이 그다지 훌륭하지 못한 것일수도 있고, 부모가 보기에도 이해가 잘 안 갈 수가 있다. 그래서, 아이가 궁금증을 가지고 왔을 때 최대한 진심으로 '모르면 모르겠다고' 답을 해주는 것이 더 중요한 것이다. 대신 부모의 개인적 생각임을 확실히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어떤 책에서 무엇을 얻어가야 하는지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 말하고자 하는 것은 뭔지 어느 어른들이 다 알려주는 그런 교육은 결코 독서의 경험을 제공해주지 못한다.

그것은 수업이지, 독서가 아니기 때문이다.

철학 동화라는 것이 있다는 것을 보고 여기까지 왔다.

애초에 나는 내가 우려하는 점이 무엇인지 밝힌 바 있다. 동화가 사라지는 것이 두렵다고. 다음에 이 주제를 이어나갈 때는 소위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전통적 동화가 왜 가장 뛰어난지, 왜 아직도 필요한지에 대해 생각해보기로 한다.


네번째 오마주이자, 첫 타인의 글 오마주입니다.
이미 아시는 분들은 많이 알고 계시는 @jamieinthedark님의 글입니다.
자주 소통하는 분이지만 과거 글들을 '팬심'으로 들여다 보았고
(첫 가입인사에서 의외의 문체를 본건 비밀)
들여다 보던 중 좋은 글을 발견해서 오마주해 오며
마크다운과 소주제를 조금 손 봤습니다^^


이 글은 @stylegold님의 『오마주』 프로젝트에 의해 재발굴된 글입니다.
원글 링크 : 동화는 어디로 갔는가 (1)
원글 저자: @jamieinthedark
이 글의 SBD 수익은 원글 저자에게 모두 전달됩니다.

Sort:  

책을 읽어라, 그러면 성공할 것이다
저도 늘 그런 막연한 내용에는 부정적인
입장이었어요
말씀하신대로 읽는 그 자체도 중요하지만
읽고나서 정말 책에대한 토론 과정을 통해서
깊이있는 되새김질(?)이 매우 중요한 것 같아요
공감하고 갑니다~ㅎㅎ

네!! 저도 그 부분에서 공감을 받아서 이 글을 오마주해보았어요!!

책에 대한 토론과 함께 책을 다시 곱씹어보는 능력을 배양하는게 아이들한테나

저희들한테나 중요한것 같아요.

이책은 이게 답이야. 이 내용은 이게 교훈이야.

하는것보다는 말이죠^^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책을 씹어 머릿속에 저장을 해야되는데...

어려운 인생 숙제입니다. ㅠ

숙제를 풀어버리면 삶의 의미가 사라지니깐 전 숙제로 남겨둘까합니다..(궤변인가)

삶은 그런거야 원래 뭐 계란이랄까?

이 글도 시리즈로 생각하고 시작한거라 2회차가 곧 나와야 할텐데...(남말 하듯)

맞아 그래서 (1) 일부러 살려뒀어 ㅋㅋㅋㅋ 2편은 형의 '철학동화는 이래야지!'라는 글이려나?

인생의 숙제는 끝이 없을겁니다.

숙제와 선택의 연속에서 살고 있죠. ^^

크고나서 읽은 미하엘 엔데의 동화들은 어른이 봐도 교훈을 주더라구요. 곡성과 비슷한 주제를 가진 보름달의 전설, 자유에 대한 철학을 담은 자유의 감옥. 이미 걸작 반열에 올라가 있는 네버 엔딩 스토리와 모모.

그런 책들은 정말 아이들에게 권장할만 한 것 같습니다.

와 책을 정말 많이 읽으시네요... 말씀해주신 책 중에 모모밖에 못봤네요... 반성하게 됩니다!

기회되면 읽어보고 리뷰도 해봐야겠어요! 그전에 @socoban 님께서 리뷰해주시면 기꺼이

읽으러 가겠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저도 제이미님 글은 공부도 할겸 빠지지 않고 챙겨봤는데
이 글은 못 본 글이어서 의아해서 찾아보니까
제가 제이미님을 알기 전의 글이었네요ㅎㅎㅎ
이런 멋진 글을 놓쳤었다니ㅋㅋ
좋은 글 오마주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초이님!! ^-^ ㅎㅎㅎ

가입인사 말투가 저는 가장 맘에 들더라구요ㅋㅋ 제이미형 답지 않은 문체!!

뉴이즈님도 스티밋 활성화에 힘쓰시느라 고생많으세요~~!! 너무 무리하지는 마세요 ㅎㅎ

걍 보고 느끼면 될 것을 왜들 그러는 걸까요..
옛날 국어시간이 싫었던 이유는 좋은 글들에다가 밑줄 그어가면서 그 의미를 칠판에 정리하는 것이 보기 흉했었기 때문이었어요..

@sadmt님도 국어시간을 싫어하셨군요..

밑줄을 그어가면서 그 의미를 칠판에 정리하는 행위...

저희 모두 글을 너무 꼭꼭 씹으려한건 아닌지 모르겠네요!

이 글 참 좋았던 기억이 나네요
책에 정답을 달아놓는 순간 그건 문제집이 되어버리는 건데
그걸 독서라고 부르면 안되는데 말이죠...ㅎㅎ

맞습니다 문학작품에 답을 내려버리다니요. 어불성설이 아닌가 싶네요^^

저도 올바른 독서습관을 가지도록 노력해봐야겠습니다!!

좋은 글을 다시 발굴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책을 읽고 나서는 꼭 스스로 고민해 보는 시간과 타인과 소통 또는 토론하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ㅎ

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글 써주신 제이미님 덕이죠!

제이미형 글 읽다 여기까지 왔네요. 종종 들를께요. 스팀잇에 의외로 책고수들이 많은 것 같군요. 담엔 동화집도 한 번 리뷰해 봐야겠어요. 다른 분들 글을 읽다보니 제 글엔 어깨에 힘이 너무 들어가 있는 것 같군요. 제 책리뷰글 링크합니다. 종종 들를께요. @onugi 입니다. 꾸벅.
<방탄소년단과 들뢰즈> 리뷰: https://steemit.com/kr/@onugi/bts-by
<붉은선>리뷰: https://steemit.com/sexuality/@onugi/uwkj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