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일기] 아침에는 죽음을 생각하는 것이 좋다

Screenshot_20200701-165420_Naver Blog.jpg
<이미지 출처 : 네이버 글감 검색>


저자 :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하버드에서 박사학위 받고 브린모어대학 교수를 지낸 바 있다.




이 책은 저자가 지난 10여 년간 일상과 사회, 학교와 학생, 영화와 책 사이에서 근심하고 애정한 것들에 대한 이야기들이라고 소개되어 있다.

무엇보다 제목이 끌려서 읽게된 책.




저자가 수년간 써 온 에세이, 칼럼 등을 엮어 놓은 형식이다.

책 출간 시점 이전에 핫한 칼럼니스트였던 것으로 보인다.




책 전반을 읽을 때는 문유석 판사님의 <개인주의자 선언>이란 책과 유사한 느낌이 들었다.

그러다 후반으로 가면서 갑자기 김웅 검사의 <검사내전>이란 책이 떠오른다.

물론, 이 책의 주제는 앞서 두 책의 주제와 전혀 다르다.




문장들이 좀 어렵다.

왜 그런 글들 있지않나.

어려운 단어들도 없었는데 방금 읽은 내용이 무슨 말인지 모르는..

한자식 단어들이 제법 있긴 하다.

얼핏, 책 제목만 봤을 때는 좀 어두운 내용일 수도 있겠다 싶지만 전혀 그렇진 않다.




본문 내용 중에 저자는 소소한 근심을 누리며 살기를 원한다고 한다.

'왜 만화 연재가 늦어지는가'나 '왜 디저트가 맛이 없냐'라든지.

이게 무슨 소리인가 했더니, 이런 근심을 누린다는 것은, 이 근심을 압도할 큰 근심이 없다는 것이지 않냐는 것이다.

따라서 이 작은 근심들을 통해서 스스로 불행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 것 같다.

지금 내가 걱정하거나 근심하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 하고 생각해보게 된다.

회사 업무가 떠오른다. 회사에서 떠안게 될 일이 걱정된다.

그래, 이 정도면 현재 나는 행복한 사람이다.

회사 업무에 대한 근심이 떠오를 때면 다른 모든 일이 손에 잡히지 않을 정도로 신경이 쓰이지만, 건강, 생계 등 다른 큰 걱정 근심에 비하면.. 회사 일 걱정이야 뭐.

아래부터는 책을 읽으며 기록해 둔 본문의 문장들.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을 때, 우리는 비로소 죽음을 직면하고 죽음에 대해 생각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언제 죽을 지 모르는 게 인생이라면, 영원히 살 것처럼 굴기를 멈출 것이다.

소소한 근심에 인생을 소진하는 것은, 행성이 충돌하는데 안전벨트를 매는 것과 다를 바 없다.

몽테뉴는 죽음을 생각하지 않는 것이야말로 죽음이 주는 무서움에 대한 가장 한심한 대응이라고 말했다.





사람은 두 번씩 죽는다.

자신의 인생을 정의하던 일을 더 이상 할 수 없어 삶의 의미가 사라졌을 때 사회적 죽음이 온다.

그리고 자신의 장기가 더 이상 삶에 협조하기를 거부할 때 육체적 죽음이 온다.

우리를 기다리고 있는 것은 사회적 죽음과 육체적 죽음 사이의 길고 긴 연옥 상태다.





한국의 현대사는 19세기 유한계급 양반들이 게걸스럽게 먹고 남긴 설거지를 하느라 이토록 분주한 것이 아닐까요.

후대의 사람들이 자칫 설거지만 하며 인생을 보내지 않으려면, 각 세대는 자신의 설거지를 제대로 해야 합니다.

이것이 이른바 세대 간의 정의 입니다.




결혼은 연애의 업보이고, 자식은 부모의 업보이며, 설거지는 취식의 업보입니다.

얼마나 깔끔하게 혹은 게걸스럽게 먹었느냐가 고스란히 설거짓거리에 반영됩니다.




요리의 시작은 쌀을 밥솥에 안치는 일?

요리의 시작은 장보기.

식사의 끝은 디저트?

식사의 끝은 설거지.




사람들은 평상시에는 근본적인 질문에 대해 별 관심이 없다.

내가 누구인지, 한국이 무엇인지에 대해 궁금해하기 보다는,

내가 무엇을 하는지, 한국이 어떤 정책을 집행하는지,

정체성보다는 근황과 행위에 대해 더 관심을 가진다.




한국에는 이미 오랜 다민족 전통이 있음을 잊지 말자.

조선왕조 창업공신의 일부는 여진족이고, 고려 후기 상당수의 왕들은 몽골 공주와 혼인했으며, 단군을 낳은 환웅과 웅녀는 같은 민족이 아니었다.




반문은 사람을 생각하게 만드는 중요한 방식 중 하나이다.

질문이라는 게 사람을 어느 면에서 좀 숭고하게 만드는 게 있는데다 얘기를 진지하게 만드는 중요한 기제가 되기도 한다.



행복보다는 불행하지 않기를 바라는 쪽이다.

행복이 단지 기분이 좋은 걸 의미한다면, 우리 사회에서 행복이 지나치게 과대평가돼 있다고 생각한다.


2020.07.01

Sort:  

@lucky2015 transfered 2 KRWP to @krwp.burn. voting percent : 9.40%, voting power : 80.26%, steem power : 1833253.57, STU KRW : 1200.
@lucky2015 staking status : 670 KRWP
@lucky2015 limit for KRWP voting service : 2.01 KRWP (rate : 0.003)
What you sent : 2 KRWP [44722298 - 4f5c50841ff1a287b671d3a0f243cd2f92347c1b]

저자가 설거지를 하며 여러가지를 생각했군요? ㅎㅎ

설거지에 대한 철학이 있으신가봅니다^^

서예로 쓸만한 좋은 문구를 광주리로 얻어갑니다. 물론 사유할 꺼리도 많네요.
사회적 죽음으로 앗쌀하게 인생을 마감하고 싶은데 말입니다. 육체의 죽음까지의 긴 터널을 겪어야만 하는가....그래서 저는 죽을 권리 인정하자는 쪽입니다.

앗쌀하게가 무슨 뜻인가 찾아봤습니다^^
사회적 죽음으로 인생을 마감하고 싶으시다뇨..
저도 육체적 기능이 거의 상실된 상태에서의 적극적인 죽음은 찬성하고, 저 또한 그러고 싶습니다.

Muy buena info

아침부터 좋은 책소개 감사합니다
설거지를하며 큰 근심 없음에 행복한 하루를 시작합니다

맛있는 아침 식사하셨기를 바랍니다~